Aggregator (집계자) 패턴 이란 ?
Aggregator 패턴은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중 하나로, 여러 소스의 데이터를 통합하거나 집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패턴은 특히 데이터의 중앙 집중화와 단순화된 인터페이스 제공에 중점을 둡니다. Aggregator는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독립된 객체, 서비스, 또는 데이터 소스를 수집하고 이 데이터를 클라이언트가 사용하기 쉽도록 조작하거나 처리합니다.
1.Aggregator 패턴의 탄생
Aggregator 패턴의 기원과 사용 시점은 특정 시기나 인물로 명확히 정의되지 않습니다. 이는 시스템 구축 프로젝트의 거대화 및 소프트웨어 공학과 디자인 패턴의 발전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등장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Aggregator 패턴은 데이터 통합과 시스템 설계의 요구로 인해 유기적으로 발전해왔습니다.
2.Aggregator 패턴의 발전
Aggregator 패턴은 소프트웨어 공학의 초기 발전 단계에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통합하기 위한 필요성에서 출발했습니다. 특히,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과 컴포넌트 기반 설계가 발전하면서 복잡한 데이터 흐름과 여러 데이터 소스를 단순화할 방법이 중요해졌습니다.
3. 데이터 집계의 초기 사례
- 1960~1970년대 : 데이터 통합과 관련된 초기 개념은 메인프레임 컴퓨터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이 개발될 때부터 시작되었습니다.
- 예: 여러 데이터 소스를 조합하여 리포트를 생성하는 IBM의 초기 DB 시스템.
4. 디자인 패턴의 형식화
- Aggregator 패턴은 1990년대 초반 디자인 패턴 개념이 형식화되면서 구체적으로 다뤄지기 시작했습니다.
5. 웹과 인터넷의 발전
- 1990~2000년대 : 웹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의 등장으로 Aggregator 패턴이 점점 더 중요해졌습니다.
- RSS 피드, 뉴스 집계 서비스 등이 Aggregator 패턴의 구체적인 예로 활용되기 시작했습니다.
6. 현대적 응용
- 2010년 이후 : 클라우드 컴퓨팅과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의 인기로 Aggregator 패턴이 명확히 정의되고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 API Gateway와 데이터 통합 서비스는 Aggregator 패턴의 대표적 응용 사례로 자리 잡았습니다.
7.주요특징
- 1) 데이터 수집 및 통합 : 여러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통합하여 단일 인터페이스로 제공.
- 2) 단순화된 인터페이스 : 클라이언트가 여러 데이터 소스를 각각 호출하거나 처리하지 않아도 되도록 통합된 접근 방식을 제공.
- 3) 캡슐화 : 복잡한 데이터 처리 로직을 Aggregator 내부에서 처리하여 클라이언트는 이를 알 필요 없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음.
- 4) 확장성 : 새로운 데이터 소스나 기능 추가가 용이하며, 기존 클라이언트 코드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8. Aggregator 패턴의 사용 사례
- 1) 웹 크롤러 및 데이터 스크레이핑 : 여러 웹사이트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합된 결과를 제공.
- 2)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 여러 마이크로서비스의 결과를 통합하여 단일 응답으로 제공.
- 3) IoT 시스템 : 다양한 센서 데이터 수집 및 통합.
- 4) e-커머스 플랫폼 : 여러 공급업체의 상품 정보를 통합하여 하나의 상품 리스트로 제공
9. 결론
Aggregator 패턴은 데이터의 집계 및 통합에 최적화된 패턴으로, 대규모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나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