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모델 소개 3

LaMDA (Language Model for Dialogue Applications) 소개

개요•LaMDA는 Google에서 개발한 대화형 AI 언어 모델로,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연스러운 대화를 생성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Google I/O 2021에서 처음 소개된 이 모델은 특정 사용자 입력에 대해 관련성 높고 풍부한 대화를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LaMDA는 기존의 언어 모델과 달리, 더 넓은 범위의 대화 흐름을 이해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최적화되었습니다. 특징·대화 중심 설계 : LaMDA는 전통적인 언어 모델과 달리 대화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맥락과 주제를 이해하고, 이에 맞게 반응하도록 훈련되었음. 이를 통해 사용자는 LaMDA와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연스럽게 대화를 이어갈 수 있습니다. ·개방형 대화1) 지원: LaMDA는 개방형 대화(Open-d..

AI모델 소개 2024.10.14

AI모델(GPT-4, CLIP, StyleGAN) 관련 질문과 답변 내용

질문 1)데이터 주석 처리 부분에서 GPT-4는 머신 러닝 모델을 위한 데이터 준비에서 중요한 단계인 데이터 주석 처리에도 사용된다고 하였는데, 제가 아는 주석은 코드 내에서 실행되지 않고 가독성을 높이거나 부연설명을 하기 위한 역할로 알고있습니다. 보통 데이터는 코드 내에 존재하기엔 너무나 방대한 양이여서 따로 정제 후 불러오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렇다면 책에서 말하는 주석은 단순하게 데이터에 대해 요약하는 가이드라인 같은 것으로 받아들이면 되나요? 예를 들어 보통 GIThub에 있는 readme 파일 같은 걸 의미합니다. 답변)여기서 말하는 데이터 주석 처리(Data Annotation)는 머신 러닝 모델을 훈련시키기 위해 데이터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데이터에 의미 있는 레이블이나 태그를 추가하는..

AI모델 소개 2024.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