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PMC(Total Transactions Per Minute, Commit)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대역폭을 구하는 것은 시스템의 데이터 처리량과 성능을 바탕으로 네트워크 대역폭을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여기서는 TPMC 성능 측정을 통해 네트워크에서 요구되는 대역폭을 추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1. TPMC의 정의
- TPMC(Total Transactions Per Minute, Commit)는 시스템이 분당 처리할 수 있는 트랜잭션 수를 나타냅니다.
- 이는 초당 트랜잭션 수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TPS = TPMC/60
여기서 TPS(Transactions Per Second)는 시스템이 초당 처리할 수 있는 트랜잭션 수입니다.
2. 네트워크 대역폭의 정의
- 네트워크 대역폭은 초당 전송 가능한 데이터의 양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bps(bit per second)로 측정됩니다.
-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얼마나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3. TPMC 기반으로 네트워크 대역폭을 구하는 방법
3.1. 트랜잭션당 데이터 크기 추정
- 각 트랜잭션이 네트워크에서 처리되는 동안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알아야 합니다.
- 트랜잭션당 데이터 크기는 보통 다음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요청 데이터 크기
- 응답 데이터 크기
- 기타 오버헤드(프로토콜, 헤더 등)
예를 들어, 한 트랜잭션에 대한 요청과 응답 데이터 크기를 각각 5KB, 10KB로 가정하면 트랜잭션당 데이터 크기는 15KB입니다.
3.2. TPS(초당 트랜잭션 수) 계산
- 주어진 TPMC에서 초당 처리할 수 있는 트랜잭션 수(TPS)를 계산합니다.
- 예를 들어, TPMC가 120,000이면:
TPS = 120,000/60 = 2,000 TPS
즉, 시스템은 초당 2,000개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3.3. 초당 전송되는 데이터량 계산
- 초당 처리되는 트랜잭션 수(TPS)와 트랜잭션당 데이터 크기(바이트)를 곱하여 초당 전송되는 데이터량을 구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 크기는 바이트 단위로 환산하여 사용하며, 1KB = 1024 바이트입니다.
예를 들어, 트랜잭션당 15KB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초당 2,000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다면
초당_데이터_양 = 2,000 * 15KB = 30,000KB = 30,000 * 1024 bytes = 30,720,000 bytes/sec
3.4. 대역폭 계산
- 초당 전송되는 데이터량을 바이트 단위로 계산한 후, 이를 bps(bit per second)로 변환해야 합니다.
- 1 바이트 = 8 비트이므로, 초당 데이터량을 8로 곱하여 대역폭을 계산합니다:
네트워크_대역폭 (bps) = 초당_데이터_양 (bytes/sec) * 8
위의 예에서 초당 데이터량이 30,720,000 바이트이므로:
네트워크_대역폭 = 30,720,000 * 8 = 245,760,000 bps = 245.76 Mbps
이는 네트워크가 245.76 Mbps의 대역폭을 필요로 한다는 의미입니다.
4. 결론
1) TPMC 값을 TPS(초당 트랜잭션 수)로 변환: TPMC를 60으로 나눕니다.
2) 트랜잭션당 데이터 크기 추정: 트랜잭션의 요청과 응답 데이터 크기, 오버헤드를 계산합니다.
3) 초당 전송 데이터량 계산: TPS와 트랜잭션당 데이터 크기를 곱하여 초당 전송되는 데이터량을 계산합니다.
4) 네트워크 대역폭 계산: 초당 전송되는 데이터량을 바이트에서 비트로 변환(곱하기 8)하여 네트워크 대역폭을 구합니다.
이 방식으로 시스템의 트랜잭션 처리량(TPMC)과 트랜잭션당 데이터 크기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대역폭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Technical Archite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시스템 구축 시 단위 업무 시스템으로부터 필요한 TPMC(Total Transactions per Minute, Commit)를 구하는 방식 (6) | 2024.10.17 |
---|---|
AI서비스 구현 시 쿠버네티스 활용 사례 (8) | 2024.10.16 |
AI학습용 서버의 용량 산정 시 고려사항 및 용량 산정 방법 (6) | 2024.10.16 |
TPMC기반으로 메모리 용량, 디스크 용량 산정하기 (0) | 2024.10.08 |
TPMC 계산 방법 및 서버 용량 산정시 활용 방법 (14) | 2024.10.08 |